- 22.11.24 기준 -
팀원과 진행한 프로젝트를 마치고..
5명에서 열심히 만들었던 스프링 프로젝트를
각자의 로컬 PC에서만 구동하는게 아니라
포트폴리오 및 주변 지인들에게
Comfirm을 받기 위해서
AWS Free Tier 인스턴스를 사용해서
스프링 + 오라클 DataBase 11g를 배포할 때
겪었던 모든 과정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안되면 댓글 문의 바랍니다 )
- 여담 -
2년전에 GCP(구글 클라우드 서비스)와
AWS 를 사용해서
설정을 잡고 클라우드 프로젝트를 만들었던 때와
버젼 및 UI 차이점이 많아졌기 때문에
타 블로그나 게시물이 참고하기 어려워
직접 만들게 되었습니다.
1. AWS 계정 생성
계정 생성에 대한 내용은 예전과 변한 부분이 없어서
어려운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생략 하겠습니다!
2. EC2 우분투 인스턴스 생성 (22.11.24 기준)
빨간색으로 친 부분을 확인하며
설정 지역이 서울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당 리전이 다를 경우에 EC2
서버의 속도가 달라지거나
해당 대시보드의 정보값이 다르게
출력 될 수 있기 때문!
현재 나는 돌리고 있는 인스턴스가 있기
때문에 실행중인 목록이 뜨지만,
초기 사용자는 목록에 아무것도 뜨지 않습니다.
위에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줍니다.
우리는 우분투 프리티어를 사용할것이기 때문에
ubuntu를 선택해주고,
AWS 프리 티어는 22버젼과
20버젼 두가지 선택 가능합니다.
2년 전에 가장 높은 버젼으로 서버를
돌려보겠다고 했다가,
지원안하는 명령어들의 늪에서
고생한 추억이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가장 높은버젼 아랫 버젼을 선택해줍니다.
AWS 서버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키페어를 통해서 인증해서 접속하는 방법을 사용 합니다!
여기서 다운로드 하게 된 키페어 파일은 절대 절대 관리를 잘 해주어야합니다!!
키페어를 통해서 인스턴스 접속하는 방식은 매우 편리하기 때문에..
없으면 상당히 귀찮아집니다...
네트워크 설정같은 경우에는
기본으로 설정하고 필요시엔 수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넘어갑니다.
스토리지 구성은 프리티어에서 최대 30GB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최대한 큰게 좋기때문에 30까지 올려줍니다.
그러고 생성 완료 클릭하게 되면
우리의 EC2 우분투 인스턴스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3. 탄력적 IP 주소 할당 및 연결 (22. 11. 24 기준)
인스턴스를 접속하기 전에,
왼쪽 메뉴바를 통해서
네트워크 및 보안 > 탄력적 IP
를 들어가 줍니다.
접속 한 후 기본 상태에서 할당을 눌러 준 뒤
탄력적 IP가 생성이 되면,
해당 IP를 선택 후 작업에서 '탄력적 IP 주소 연결'을 눌러
우리가 만들어 놓은 인스턴스와 연결 합니다.
프라이빗 IP 주소를 입력해도 되지만, 여기서는 넘어가고 인스턴스만 등록 후에 연결 클릭!
탄력적 IP 주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EC2 중지 후에 재시작 시에 퍼블릭IP를 새롭게 갱신하게 되는데 탄력적IP를 설정해 둘 경우,
중지 한 후 재시작 하여도 IP주소가 고정되어 변하지 않고 사용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다음 시간에 계속 -
'Project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프리티어지만 과금이 되었다? 탄력적 IP 사용 시 주의! (0) | 2022.12.05 |
---|---|
AWS 우분투(ubuntu)사용해서 Spring Oracle 11g 배포하기 (3) - 인스턴스 오라클 원격 접속 (0) | 2022.11.29 |
AWS 우분투(ubuntu)사용해서 Spring Oracle 11g 배포하기 (2) - 인스턴스에 오라클 설치 (0) | 2022.11.25 |
AWS 우분투(ubuntu)사용해서 Spring Oracle 11g 배포하기(프롤로그) (0) | 2022.11.24 |